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복어는 어떻게 몸을 둥글게 부풀릴까?

반응형

 

복어는 어떻게 몸을 둥글게 부풀릴까?

 

 

과거엔 배가 볼록해 물에 사는 돼지라는 의미의 하돈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이와 관련한 기록이 <조선왕조실록>에도 등장한다.

 

성종 24년 1493년에 웅천 경남 창원시 진해구의 옛 지명에서 복어가 굴과 미역에 알을 낳는 바람에 그 사실을 모르고 먹은 해안가 주민 24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일로 경상도 관찰사 이계남이 굴과 미역을 채취하는 것을 금지하다가 결국 복어 독에 의한 사건으로 판명나 금지령을 해제한 해프닝도 있었다.

 

복어는 닭고기와 생선의 중간쯤 되는 맛으로 담백하고 쫄깃해 동아시아에서 오랫동안 최고의 별미로 꼽혔던 음식으로 이 지역 사람들은 복어의 위험성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복어요리를 해 먹었다.

 

지방이 적고 단백질이 풍부한 복어는 미식가들을 중심으로 마니아층을 형성할 정도로 인기가 높은 음식이지만, 치명적인 독을 갖고 있어 복어조리기능사 자격증이 있어야만 판매할 수 있는 음식이기도 하다.

 

복어는 몸집에 비해 작은 지느러미 탓에 빠르게 헤엄 칠 수 없다. 대신 복어는 적의 위협으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두 가지 무기를 갖고 있다.

 

하나는 바로 독성이 청산가리의 10배가 넘는 테트로도톡신이라는 독이고 다른 하나는 사람이 볼에 바람을 넣듯 배를 크게 부풀릴 수 있다는 점이다

 

먼저 테트로도톡신은 신경독소의 일종으로 복어목 어류의 간이나 난소 등 생식 장기에서 주로 발견된다.

 

복어 자체에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복어가 감염되거나 복어와 공생하는 몇몇 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독제도 없는 맹독성으로 중독되면 치사율이 40~80%에 이른다.

 

그렇다고 전 세계적으로 120~130종에 달하는 모든 복어가 독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또 독성의 강도에도 차이가 있어 황복, 자주복, 까치복, 검복은 독성이 강하고 밀복, 가시복, 거북복의 독성은 약하다.

 

아이러니한 것은 독이 강한 복어일수록 맛이 좋아 사람들이 즐겨 찾는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복어는 어떻게 몸을 둥글게 부풀릴 수 있을까.

 

복어는 위협을 느끼는 상황에서 물이나 공기를 잔뜩 흡입해 본래 몸 크기의 3~4배까지 몸을 부풀릴 수 있다.

 

위장 하단의 확장낭이라는 신축성 있는 주머니에 물이나 공기를 채우는 것이다.

 

물속에선 14초에 약 35번 정도 흡입해 몸을 부풀릴 수 있다고 한다.

 

물이나 공기를 가득 채운 후엔 식도의 근육을 축소시켜 물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비정상적인 몸의 팽창에도 몸이 터지지않는 것은 피부의 진피층에 탄력성과 신축성을 유지해 주는 콜라겐 섬유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복어가 원래 몸무게의 두 배 이상의 물을 머금은 상태에서 호흡은 정상적으로 할 수 있을까. 숨을 참는 걸까.

 

이를 위해 호주의 과학자들은 한 가지 실험을 진행했다.

 

과학자들은 8마리의 복어를 수조에 넣은 다음 복어에 극심한 스트레스를 줌으로써 몸을 부풀어 오르게 만들었다.

 

그 후 수조 속 용존 산소량 변화를 확인했다.

 

그 결과 오히려 몸을 부풀리기 전보다 복어의 산소 소비량은 2~3배나 더 많아졌다.

 

몸이 팽창한 상태에서는 아마기로 더 많이 호흡했던 것이다.

 

아울러 복어가 공모양의 잔뜩 부풀려진 모습에서의 과잉 호흡에서 본래 호흡으로 돌아가는 데는 5시간 36분이 걸렸다고 한다.

 

복어는 언제든지 자신들이 원할 때마다 몸을 부풀려 상대에게 위협적으로 보일 수 있을까.

 

이에 대해 미국 하버드대 연구진은 복어가 3~8번 연속 몸을 부풀릴 수는 있지만 그 이후엔 아무리 위협을 가해도 반응이 없다는 실험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알아두면 쓸모 있는 과학 잡학상식
일상생활에서 뜻밖에 만나는 과학의 뒷이야기! □ 젊은 피로 수혈하면 정말 회춘할까? □ 우유를 마시면 왜 배가 아플까? □ 신의 영역 유전자에 가위를 댈 수 있다고? □ 규조토가 없었다면 노벨은 다이너마이트를 만들지 못했다? □ 야구공의 변화구에도 과학의 원리가 담겨 있다고? □ 왜 나만 정전기가 유독 심할까? □ 초파리도 실연하면 만취한다고? □ 대나무의 속은 왜 텅 비어 있을까? □ 전기뱀장어는 어떻게 전기를 낼까? □ 별똥별은 왜 지구로 떨어질까? □ 외계인은 과연 존재할까? □ 얼굴 인식에도 과학적 원리가 있다? □ 계산기도 없던 시절 인류 최초의 프로그래머는 여성이었다? □ AI는 인류 동반자가 될 수 있을까? 과학 전공자가 아닌 저자 같이 천생 문과생들에게 과학을 보다 쉽게 전해 주고 싶었다. 과학을 막 배우기 시작하는 학생들에게 "과학 알고 보면 쉬워!"라는 메시지를, 과학이라면 그저 딴 세상 얘기인 줄 알고 살아가는 어른들에게는 "이미 과학 속에 살고 있어요!"라는 자각을 안겨 주고 싶었다. 그런 그가 《이데일리》에 ‘이연호의 과학 라운지’를 연재하면서 과학의 재미에 빠지게 되었다. 이 책은 우리 삶과 멀게 느껴지고 어렵게만 생각됐던 과학이 정작 우리 일상생활과 늘 함께하고 있음을 일깨워주면서, 살면서 늘 궁금했던 과학 이야기를 담고 있다. 생리학, 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천문학, 그리고 4차 산업혁명까지 사소한 것에서 심층적인 것까지 과학에 대한 궁금증을 알기 쉽고 재미나게 풀어냈다.
저자
이연호
출판
팬덤북스
출판일
2021.05.08

 

 

※함께하면 좋은 글※

2023.02.28 - [분류 전체보기] - 스몰리딩 사색하라

 

스몰리딩 사색하라

스몰리딩 나는 대학 시절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을 전공했다. ‘컴퓨터과학’이라고 하면 생소하게 느끼는 사람도 있겠지만 한자로 쓰면 ‘전산학’이다. 이 때문에 대학을 졸업하고 나서도

1.ohgoodj.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