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빨간색 옷과 벌의 공격

반응형

 

 

빨간색 옷을 입으면 벌의 공격을 받기 쉬운 이유는?

 

 

 

 

동물은 사람에 비해 볼 수 있는 색이 제한적이다.

 

거의 모든 동물은 사람이 볼 수 있는 색 중 일부 색만 볼 수 있다. 

 

상어나 소는 색맹으로 세상이 흑백으로만 보인다. 

 

반면 대부분의 곤충과 새는 사람이 볼 수 없는 자외선을 볼 수 있는 시야를 가졌고 방울뱀은 적외선을 감지해 먹이를 찾는다.

 

색은 전기신호이다.

 

설이나 추석에 성묘를 갈 땐 검은색 등 짙은색이나 빨간색 옷을 입으면 안 된다.

 

또 모자를 쓰는 게 좋다.

 

말벌이 검은색과 비슷한 색을 보면 자신들의 천적인 곰이나 오소리라고 생각해 공격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보기에 빨간색은 검은색과는 차이가 큰 색인데 왜 벌의 공격 대상이 될까?

 

 

 

 

벌에게 빨간색은 볼 수 없는 색이기 때문이다. 벌은 빨간색을 검은색으로 인식한다.

 

다만 벌은 빨간색을 못 보는 대신 인간이 볼 수 없는 자외선은 볼 수 있다.

 

화려한 꽃의 상당수는 꽃잎 위에 꿀이 들어 있는 중심부를 향해 자외선 띠를 형성함으로써 꿀벌 등 곤충을 유혹한다.

 

다른 식으로 말하자면 색은 사실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색을 만드는 빛은 전기신호로, 색은 서로 다른 주파수의 파동이다.

 

눈에 보이는 것은 단순히 전기신호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 눈의 망막 위에는 시세포인 원뿔 모양의 원추세포가 있고 이 원추세포가 색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인간의 망막에는 약 700만 개의 원추세포가 있다. 원추세포에는 세 종류가 있다.

 

즉 빨강 녹색 파란색의 가시광선을 인식하는 적추체, 녹추체, 청추체가 있어 여러 가지 색깔을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카메라가 빨강 초록 파랑의 적녹청 조합을 통해 사진을 만드는 것과 같은 원리다.

 

원추세포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받아들이는 안테나로 수백만 화소의 카메라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컴퓨터 모니터나 인쇄물에서 볼 수 있는 모든 디지털 이미지들을 아주 크게 확대하면 그림의 경계선들은 작은 사각형들이 붙어 마치 계단처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다지철 이미지들은 더 이상 쪼개지지않는 네모 모양의 작은 점들이 모여서 전체 그림을 만든다.

 

이때 이미지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인 이 네모 모양의 점들을 픽셀 혹은 화소라고 한다.

 

화소의 수가 많을 수록 해상도가 높은 영상을 볼 수 있다.

 

같은 면적 안에 픽셀 즉 화소가 더 빽빽하게 많이 들어 있을수록 그림이 더 선명하고 정교하다.

 

사람 눈은 화소의 한계가 있어 일정 정도 이상으로 어떤 이미지를 세밀하게 보지는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는 우리 눈이 갖고 있는 화소의 한계를 넘어 계속해서 보다 높은 해상도를 구현 중이다.

 
알아두면 쓸모 있는 과학 잡학상식
일상생활에서 뜻밖에 만나는 과학의 뒷이야기! □ 젊은 피로 수혈하면 정말 회춘할까? □ 우유를 마시면 왜 배가 아플까? □ 신의 영역 유전자에 가위를 댈 수 있다고? □ 규조토가 없었다면 노벨은 다이너마이트를 만들지 못했다? □ 야구공의 변화구에도 과학의 원리가 담겨 있다고? □ 왜 나만 정전기가 유독 심할까? □ 초파리도 실연하면 만취한다고? □ 대나무의 속은 왜 텅 비어 있을까? □ 전기뱀장어는 어떻게 전기를 낼까? □ 별똥별은 왜 지구로 떨어질까? □ 외계인은 과연 존재할까? □ 얼굴 인식에도 과학적 원리가 있다? □ 계산기도 없던 시절 인류 최초의 프로그래머는 여성이었다? □ AI는 인류 동반자가 될 수 있을까? 과학 전공자가 아닌 저자 같이 천생 문과생들에게 과학을 보다 쉽게 전해 주고 싶었다. 과학을 막 배우기 시작하는 학생들에게 "과학 알고 보면 쉬워!"라는 메시지를, 과학이라면 그저 딴 세상 얘기인 줄 알고 살아가는 어른들에게는 "이미 과학 속에 살고 있어요!"라는 자각을 안겨 주고 싶었다. 그런 그가 《이데일리》에 ‘이연호의 과학 라운지’를 연재하면서 과학의 재미에 빠지게 되었다. 이 책은 우리 삶과 멀게 느껴지고 어렵게만 생각됐던 과학이 정작 우리 일상생활과 늘 함께하고 있음을 일깨워주면서, 살면서 늘 궁금했던 과학 이야기를 담고 있다. 생리학, 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천문학, 그리고 4차 산업혁명까지 사소한 것에서 심층적인 것까지 과학에 대한 궁금증을 알기 쉽고 재미나게 풀어냈다.
저자
이연호
출판
팬덤북스
출판일
2021.05.08

 

※함께하면 좋은 글

2023.03.08 - [분류 전체보기] - 복어는 어떻게 몸을 둥글게 부풀릴까?

 

복어는 어떻게 몸을 둥글게 부풀릴까?

복어는 어떻게 몸을 둥글게 부풀릴까? 과거엔 배가 볼록해 물에 사는 돼지라는 의미의 하돈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이와 관련한 기록이 에도 등장한다. 성종 24년 1493년에 웅천 경남 창원시 진해구

1.ohgoodj.com

 

 

반응형